센터안내 | 센터소개
대구영상미디어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대구광역시가 설립하고 대구경북영화영상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하는 공공문화시설로서 지역 영상산업 인프라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대구미디어파크로 이전한 이후, 대구영상미디어센터는 영화 분야 특화 미디어센터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명확히 하며 창작과 교육, 문화 향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센터는 지역 내 영화‧영상문화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보다 많은 시민들이 미디어를 향유하고 직접 창작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창작자들에게는 다양성 영화 제작지원 사업, 전문 후반작업시설을 통한 기술지원, 작품 배급 및 상영 기회 제공 등을 통해 지속적인 창작활동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으며, 시민들을 위한 기초 미디어 교육부터 현장 중심의 전문과정까지 폭넓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특히 ‘대구영화학교’는 연출, 촬영, 제작, 영화이론 등 영화제작 전반을 심화 학습할 수 있는 특화 교육 프로그램으로, 매년 새로운 영화 전문인력을 양성하며 지역 독립영화 생태계의 활성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대구영상미디어센터는 미디어 커뮤니티 발굴 및 지원, 커뮤니티 시네마 상영활동가 양성, 찾아가는 영화관 등 다양한 상영문화 확산 사업을 통해 지역 곳곳의 영상문화 저변을 확대하고, 관객과 창작자가 함께 소통하는 지속가능한 미디어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지역 창작자, 시민, 커뮤니티 그리고 영화인을 하나로 잇는 플랫폼,
대구영상미디어센터에서 영화가 시작하고 완성됩니다!
✱ 센터 이용시간
구분 | 내용 | 비고 |
운영일 | • 월~금요일 10:00~22:00 • 토요일 10:00~17:00 | 점심시간 12:00~13:00 ※ 점심시간에는 대여·반납 불가 |
휴관일 | • 일요일 및 법정공휴일 휴무 • 매월 마지막주 월요일 (시설 및 장비 점검) |
✱ 오시는 길
대구광역시 수성구 유니버시아드로 140 대구스타디움몰 1층 (우: 42250)

• 지하철: 2호선 I 대공원역 5번 출구 하차 후, 609, 939번 환승 또는 도보 25분 / 3호선 I 용지역 2번 출구 하차 후, 403번
• 시내버스: 609, 939, 403 (경기장 네거리 하차)
• 자차 이용: 유니버시아드로 입구 이용->B1, B2주차 (미술관로 입구 이용도 가능합니다.)
✱ 업무별 연락처
업무 | 직책 | 연락처 |
업무총괄, 정책 및 대외협력 | 센터장 | 053-792-7008 |
회계‧경영지원, 커뮤니티 지원, 홍보 | 팀장 | |
창작지원, 대구 다양성영화 제작지원 | 팀장 | 053-792-7009 |
창작지원, 장비·공간 대여 | 주임매니저 | |
미디어교육 | 주임매니저 |
✱ 주요사업
사업명 | 세부사업 | 사업내용 |
상설 미디어교육 커뮤니티 미디어교육 | 상설 미디어교육 (정기 및 기획교육) | ∙ 이론·제작·기술 미디어 교육 ∙ 이용자 수요 맞춤 기획 미디어 교육 |
공동체 미디어교육 | ∙ 이주민·장애인 등 미디어접근 취약계층대상 찾아가는 미디어교육 ∙ 청소년·시니어 등 생애단계별 맞춤 미디어 교육 | |
교육지원 | ∙ 공공기관 및 공익 목적 미디어 전문교육에 대한 강좌기획 및 운영 컨설팅 지원 | |
미디어 인력양성 창작지원 | 장비대여 | ∙ 촬영· 조명· 음향 등 미디어 콘텐츠 제작 장비 대여 |
후반작업시설 운영 | ∙ 편집실, 시사실, 색보정(D.I), 디지털 시네마 패키지(D.C.P) 등 후반작업시설 운영 | |
창작지원 | ∙ 대구 다양성영화 제작지원 사업 (연중 1회 공모) ∙ 창작자 장비 및 공간 현물지원 (상시운영, 별도심사) ∙ 대구영화 데이터베이스 운영 (dmdb.co.kr) ∙ 시민동아리 운영지원 (상시운영, 별도심사) | |
미디어 문화 향유 상영지원 퍼블릭 액세스 | 다양성 영화 상영지원 | ∙ 독립영화전용관 운영 및 상영 지원 |
커뮤니티 시네마 활동지원 | ∙ 지역 제작 영상 콘텐츠와 국내외 독립·예술영화가 시민들에게 공유될 수 있도록 마을로 찾아가 상영 및 부대행사 진행 | |
퍼블릭 액세스 | ∙ 교육 수료작 및 창작지원작의 시청자 참여프로그램 방송 편성 지원 | |
지역 미디어 네트워크 구축 | 시민 미디어 정책 수립 | ∙ 전국 미디어센터 네트워크 회원 활동 ∙ 시민 미디어 컨퍼런스 개최 ∙ 미디어 환경·정책 연구 |
미디어 커뮤니티 협업사업 | ∙ 지역 미디어 관련 단체 및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공동프로그램 기획·운영 | |
시민 미디어 페스티발 | ∙ 각 교육 및 협업 사업의 결과물을 종합하여 전시․상영함으로써 성과를 공유하고 시민들에게 전달 |
✱ 센터연혁
기간 | 내용 |
2023. 04. | 센터이전 ∙ 영화중점 미디어센터로 전환 ∙ 후반작업시설 등 전문시설 확충 |
2022. 03. | 수탁기관 변경 ∙ 수탁기관 "대구경북영화영상사회적협동조합" 선정 ∙ 영화관련 사업확대 및 지역 창작자 육성 집중 ∙ 지역 내 영화·미디어 생태계 발전을 위한 정책 개발 |
2019. 03. | 수탁기관 변경 ∙ 수탁기관 "대구경북영화영상사회적협동조합, (재)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컨소시엄" 선정 ∙ 운영 및 관리총괄: 대구경북영화영상사회적협동조합 ∙ 산업연계 프로그램 운영 : (재)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 인력확충을 통한 수행사업 확장 ∙ 외부공모사업을 통한 촬영장비 및 예산 추가확보 |
2016. 07. | 센터이전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71 대구콘텐츠센터 6층 ∙ "대구영상미디어센터"로 명칭 변경 ∙ 교육 및 지원에 중점을 둔 소규모 센터로 전환 |
2007. 04.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씨눈 개관 ∙ 수탁기관 "(재)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선정 ∙ 대구지역 내 첫 번째 대형 종합 미디어센터 |
2006. 02. | 지원금 교부 및 착공 ∙ 국·시비보조 (국비 10억원, 시비 10억원) |
2005. 05. | 센터설립 지정 ∙ 문화관광부 지역영상미디어센터 설립지 선정 (대구, 인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