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수기간 : 2025-05-12 00:00 ~ 2025-06-06 24:00
- 수강료 : 300,000원
- 교육기간 : 2025-06-24 ~ 2025-11-14 매주 화,수,목,금 14:00~18:00
- 교육장소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 모집인원 : 12
- 회차 : 46차시 *제작 실습교육 10차시
○ 모집요강
모집분야 | 대구영화학교 - 신규 영화 전문인력 양성과정 |
모집대상 | 대구‧경북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영화 활동을 이어가고자 하는 누구나 |
모집인원 | 총 12명 (각 전공별 4명) |
모집전공 | 연출전공, 촬영전공, 제작(프로듀싱)전공 |
지원조건 | ∙ 대구‧경북지역 거주자 ※ 주소지가 타 지역이더라도 실 거주 내역을 증명 가능한 경우 지원가능 |
모집일정 | ∙ 서류 접수 : 2025년 5월 12일(월) ~ 6월 6일(금) 24시 ∙ 서류 합격자 발표 : 6월 10일(화) ∙ 면접 심사 : 6월 16일(월) ∙ 최종 합격자 발표 : 6월 18일(수) ※ 전형별 합격발표는 대구영상미디어센터 홈페이지 daegumedia.kr 공지사항에 발표 및 합격자에 한해 개별연락 |
제출서류 | ∙ 공통 입학지원서, 자기소개서, 에세이(소정 양식) ∙ 전공별 (연출전공) 단편영화 시놉시스 (촬영전공) 스틸이미지 5매 (제작전공) 전공에세이 ※ 첨부된 각 전공분야의 지원서 양식에 맞춰 작성 후 접수 ※ 파일명 [전공-성명]대구영화학교_7기_입학지원서.hwp로 작성 |
접수방법 | mediacenter.daegu@gmail.com 이메일 접수만 가능 |
수강료 | 300,000원 |
주최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
협력 | 대구시청자미디어센터 |
문의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대구영화학교 담당자(053-792-7009) |
※ 최종 합격 후 중도 이탈 시 추후 대구영상미디어센터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학사일정
- 입학식 : 2025년 6월 23일(월) 18시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 정규수업 : 2025년 6월 24일 ~ 11월 14일 / 총 21주 / 주 4일 / 46차시 *제작 실습교육(10차시)
| 월 | 화 | 수 | 목 | 금 |
14:00 ~ 18:00 | - | 영화연출 | 영화이론 | 영화제작 | 영화촬영 |
- 졸업식 및 졸업영화제 : 2025년 11월 14일(금) 15시 / 대구시청자미디어센터 다목적홀 (예정)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정규수업 개요
| 이론수업 | 제작워크숍 |
인원/팀 | 12명 (제작 4명, 연출 4명, 촬영 4명) | 4팀 (제작, 연출, 촬영 3인 1팀) |
교육내용 | 이론과 비평, 시나리오, 연출론, 영화제작, 촬영이론과 실습 | 졸업영화 제작워크숍, 영역별 멘토링 |
지원내용 | 촬영기자재 및 과제 제작비 | 촬영기자재 및 졸업영화 제작비 (편당 200만원 제작비 지원) |
※ 전공에 상관없이 수강생 전원은 모든 수업에 참여함
※ 제작워크숍 시 전공에 따른 역할을 맡아 참여함
○ 특강
| 강사명 | 내용 |
기술특강 | 미정 | 음향 및 동시녹음, 데이터 및 편집 |
○ 강사진
| 강사명 | 활동경력 |
영화이론 | 한창욱 | 영화평론가, 부산영화평론가협회 소속 한국영화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출강 영화의 전당 영화비평입문 강의 |
영화연출 | 김현정 | 장편 <흐르다>, <최소한의 선의> 연출 단편 <나만 없는 집>, <외숙모>, <입문반>, <은하비디오> 연출 |
영화제작 | 김세훈 | <지옥만세>, <애비규환>, <우리집>, <콩나물>, <손님> 프로듀서 <우리들> 라인프로듀서 |
영화촬영 | 고현석 | 장편 <파도를 걷는 소년>, <내가 사는 세상>, <아이 엠 러브> 촬영 장편 <물속에서 숨 쉬는 법> 연출 단편 <봄,봄>, <수지오브라이언>, <평야의 댄서> 연출 |
○ 정규수업 커리큘럼 (46차시)
주차 | 화 | 수 | 목 | 금 | 비고 |
1주 6/23 | 연출1 영화 연출의 이해 | 이론1 영화적 경험과 숏의 중요성 | 제작1 영화제작 개론 | 촬영1 영화 문법과 장면 |
|
2주 6/30 | 연출2 시나리오의 이해 | 이론2 영화의 몸짓과 운동 | 제작2 영화제작 가이드1 | 촬영2 카메라 기초(실습) |
|
3주 7/7 | 연출3 시나리오 구상 | 이론3 참여 관찰자와 영화 | 제작3 영화제작 가이드2 | 촬영3 노출과 렌즈 |
|
4주 7/14 | 연출4 시나리오 심화 | 이론4 동시대 감독 분석 (하마구치 류스케) | 제작4 시나리오 분석과 제작계획서 작성 | 촬영4 시네마 캠코더 |
|
5주 7/21 | 연출5 샷 구성의 이해1 (미니 실습) | 이론5 장르영화 :SF와 웨스턴의 중요성 | 제작5 제작 멘토링1 | 촬영5 기본 조명 설계 | 과제제시 |
6주 7/28 | 연출6 샷 구성의 이해2 (영화의 톤앤매너) | 이론6 페미니즘 영화이론 | 제작6 제작 멘토링2 | 촬영6 연속성과 조명 디자인 (실습) | 과제준비 |
7주 8/4 | 과제 - 졸업생 연계 제작실습 | 과제촬영 | |||
8주 8/11 | 연출7 영화의 시각적 계획 | 이론7 한국영화의 주요 장면들 | 과제 발표 및 크리틱 | 광복절 | 과제발표 |
9주 8/18 | 연출8 영화의 시각적 실행 | 기술특강 <음향 / 동시녹음> | 제작7 제작 멘토링3 | 촬영7 다양한 촬영 기법 | 팀 구성 |
10주 8/25 | 연출9 연출 멘토링2 | 촬영8 촬영 멘토링1 |
| 촬영9 촬영 멘토링2 | 프리 프로덕션 (4주) |
11주 9/1 | 연출10 연출 멘토링3 | 촬영10 촬영 멘토링3 |
|
| |
12주 9/8 |
| 기술특강 <데이터 / 편집> |
|
| |
13주 9/15 |
|
|
|
| |
14~18주 9/22~10/20 | 졸업영화 촬영 (9/22~10/20) | 프로덕션 (5주) | |||
19주 10/27 |
|
|
| 제작비 정산완료 | 포스트 프로덕션 (3주) |
20주 11/3 |
|
|
| 편집 LOCK | |
21주 11/10 |
|
| 수능 | 졸업식 및 졸업영화제 (11/14) |
※ 커리큘럼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모집요강
모집분야 | 대구영화학교 - 신규 영화 전문인력 양성과정 |
모집대상 | 대구‧경북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영화 활동을 이어가고자 하는 누구나 |
모집인원 | 총 12명 (각 전공별 4명) |
모집전공 | 연출전공, 촬영전공, 제작(프로듀싱)전공 |
지원조건 | ∙ 대구‧경북지역 거주자 ※ 주소지가 타 지역이더라도 실 거주 내역을 증명 가능한 경우 지원가능 |
모집일정 | ∙ 서류 접수 : 2025년 5월 12일(월) ~ 6월 6일(금) 24시 ∙ 서류 합격자 발표 : 6월 10일(화) ∙ 면접 심사 : 6월 16일(월) ∙ 최종 합격자 발표 : 6월 18일(수) ※ 전형별 합격발표는 대구영상미디어센터 홈페이지 daegumedia.kr 공지사항에 발표 및 합격자에 한해 개별연락 |
제출서류 | ∙ 공통 입학지원서, 자기소개서, 에세이(소정 양식) ∙ 전공별 (연출전공) 단편영화 시놉시스 (촬영전공) 스틸이미지 5매 (제작전공) 전공에세이 ※ 첨부된 각 전공분야의 지원서 양식에 맞춰 작성 후 접수 ※ 파일명 [전공-성명]대구영화학교_7기_입학지원서.hwp로 작성 |
접수방법 | mediacenter.daegu@gmail.com 이메일 접수만 가능 |
수강료 | 300,000원 |
주최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
협력 | 대구시청자미디어센터 |
문의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대구영화학교 담당자(053-792-7009) |
※ 최종 합격 후 중도 이탈 시 추후 대구영상미디어센터 이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음
○ 학사일정
- 입학식 : 2025년 6월 23일(월) 18시 / 대구영상미디어센터
- 정규수업 : 2025년 6월 24일 ~ 11월 14일 / 총 21주 / 주 4일 / 46차시 *제작 실습교육(10차시)
| 월 | 화 | 수 | 목 | 금 |
14:00 ~ 18:00 | - | 영화연출 | 영화이론 | 영화제작 | 영화촬영 |
- 졸업식 및 졸업영화제 : 2025년 11월 14일(금) 15시 / 대구시청자미디어센터 다목적홀 (예정)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정규수업 개요
| 이론수업 | 제작워크숍 |
인원/팀 | 12명 (제작 4명, 연출 4명, 촬영 4명) | 4팀 (제작, 연출, 촬영 3인 1팀) |
교육내용 | 이론과 비평, 시나리오, 연출론, 영화제작, 촬영이론과 실습 | 졸업영화 제작워크숍, 영역별 멘토링 |
지원내용 | 촬영기자재 및 과제 제작비 | 촬영기자재 및 졸업영화 제작비 (편당 200만원 제작비 지원) |
※ 전공에 상관없이 수강생 전원은 모든 수업에 참여함
※ 제작워크숍 시 전공에 따른 역할을 맡아 참여함
○ 특강
| 강사명 | 내용 |
기술특강 | 미정 | 음향 및 동시녹음, 데이터 및 편집 |
○ 강사진
| 강사명 | 활동경력 |
영화이론 | 한창욱 | 영화평론가, 부산영화평론가협회 소속 한국영화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 출강 영화의 전당 영화비평입문 강의 |
영화연출 | 김현정 | 장편 <흐르다>, <최소한의 선의> 연출 단편 <나만 없는 집>, <외숙모>, <입문반>, <은하비디오> 연출 |
영화제작 | 김세훈 | <지옥만세>, <애비규환>, <우리집>, <콩나물>, <손님> 프로듀서 <우리들> 라인프로듀서 |
영화촬영 | 고현석 | 장편 <파도를 걷는 소년>, <내가 사는 세상>, <아이 엠 러브> 촬영 장편 <물속에서 숨 쉬는 법> 연출 단편 <봄,봄>, <수지오브라이언>, <평야의 댄서> 연출 |
○ 정규수업 커리큘럼 (46차시)
주차 | 화 | 수 | 목 | 금 | 비고 |
1주 6/23 | 연출1 영화 연출의 이해 | 이론1 영화적 경험과 숏의 중요성 | 제작1 영화제작 개론 | 촬영1 영화 문법과 장면 |
|
2주 6/30 | 연출2 시나리오의 이해 | 이론2 영화의 몸짓과 운동 | 제작2 영화제작 가이드1 | 촬영2 카메라 기초(실습) |
|
3주 7/7 | 연출3 시나리오 구상 | 이론3 참여 관찰자와 영화 | 제작3 영화제작 가이드2 | 촬영3 노출과 렌즈 |
|
4주 7/14 | 연출4 시나리오 심화 | 이론4 동시대 감독 분석 (하마구치 류스케) | 제작4 시나리오 분석과 제작계획서 작성 | 촬영4 시네마 캠코더 |
|
5주 7/21 | 연출5 샷 구성의 이해1 (미니 실습) | 이론5 장르영화 :SF와 웨스턴의 중요성 | 제작5 제작 멘토링1 | 촬영5 기본 조명 설계 | 과제제시 |
6주 7/28 | 연출6 샷 구성의 이해2 (영화의 톤앤매너) | 이론6 페미니즘 영화이론 | 제작6 제작 멘토링2 | 촬영6 연속성과 조명 디자인 (실습) | 과제준비 |
7주 8/4 | 과제 - 졸업생 연계 제작실습 | 과제촬영 | |||
8주 8/11 | 연출7 영화의 시각적 계획 | 이론7 한국영화의 주요 장면들 | 과제 발표 및 크리틱 | 광복절 | 과제발표 |
9주 8/18 | 연출8 영화의 시각적 실행 | 기술특강 <음향 / 동시녹음> | 제작7 제작 멘토링3 | 촬영7 다양한 촬영 기법 | 팀 구성 |
10주 8/25 | 연출9 연출 멘토링2 | 촬영8 촬영 멘토링1 |
| 촬영9 촬영 멘토링2 | 프리 프로덕션 (4주) |
11주 9/1 | 연출10 연출 멘토링3 | 촬영10 촬영 멘토링3 |
|
| |
12주 9/8 |
| 기술특강 <데이터 / 편집> |
|
| |
13주 9/15 |
|
|
|
| |
14~18주 9/22~10/20 | 졸업영화 촬영 (9/22~10/20) | 프로덕션 (5주) | |||
19주 10/27 |
|
|
| 제작비 정산완료 | 포스트 프로덕션 (3주) |
20주 11/3 |
|
|
| 편집 LOCK | |
21주 11/10 |
|
| 수능 | 졸업식 및 졸업영화제 (11/14) |
※ 커리큘럼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